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
[책 16]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디지털 시대의 읽기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23. 5. 14. 00:50
책이름: 다시, 어떻게 읽을 것인가 곁이름: 종이에서 스크린, 오디오까지 디지털 전환 시대의 새로운 읽기 전략 지은이: 나오미 배런 옮긴이: 전병근 펴낸곳: 어크로스 펴낸때: 2023.01.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읽기의 과정과 그 교육에 대한 생각들이 정리되지 않아 방향을 잡아야 할 시기에 완벽하지는 않지만 정리를 해주고 방향을 잡을 수 있는 책이다. 수백년 동안 종이를 통해서 읽기 활동이 수행되어 왔지만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읽기는 변화하고 있다. 오디오나 동영상을 통한 읽기, SNS나 인터넷을 통한 읽기, 전자책을 통한 읽기 등 언어를 해독한다는 본질적인 측면은 변함이 없지만 매체에 따라 환경과 인식 과정, 교육 효과 등이 다를 수밖에 없어서 이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 선택할 필요가 있다. 지은..
-
[책 21] 소년을 읽다: 소년원에서 책 읽기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22. 7. 8. 20:01
책이름: 소년을 읽다 지은이: 서현숙 펴낸곳: 사계절 펴낸때: 2021.12. 고등학교 국어 교사가 소년원에 있는 학생들에게 국어를 가르치는 이야기이다. 소년원 아이들이라고 하면 범죄를 저지르고 들어와 있을테니 말도 잘 안 듣고, 폭력적이고, 버릇없고, 반항적일 것이라는 편견이 있을텐데, 책을 읽어보면 그런 면보다는 오히려 그 반대의 모습이 더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소년원의 국어 수업이니 일반 학교의 국어 수업처럼 내신이나 수능을 신경쓸 필요는 없어서 책을 가져와서 읽는 수업을 했다고 한다. 그리고 읽은 책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야기를 하는 방식의 수업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 아이들 처음에는 책을 건성으로 후딱 읽어서 같이 소리내어 읽었더니 서서히 책에 빠져든다. 재미있는 책을 선정하기도 했지만 갇혀..
-
[책 42] 하고 싶은 일 해 굶지 않아: 진로를 고민하는 이들에게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21. 7. 23. 00:26
책이름: 하고 싶은 일 해 굶지 않아 곁이름: 학벌, 스펙 무시하고 '즐거운 내 직업' 찾은 7인의 이야기 지은이: 윤태호, 하종강, 김현수, 최혁진, 고원형, 강도현, 송인수 펴낸곳: 시사인북 펴낸때: 2014.06. 진로에 대해서 고민하는 학생들을 위한 강연을 담을 책이다. 하고 싶은 일이 있어도 결정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 중 하나가 내가 과연 잘 할 수 있을까 라는 부분인데, 이 책은 그런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이다. 미국에서 대학을 나오고 펀드 매니저, 경영 컨설턴트 등으로 억대 연봉을 받다 자본주의 시스템의 폐해에 염증을 느끼고 소셜카페 기획자로 일하는 강도현의 말들이 인상적이었다. 경력을 보면 엄청 대단해서 굉장한 능력, 실력이 있는 사람처럼 보이는데 본인은 그렇게 생..
-
[책 35] 대한민국 1호 미래학교: 학교의 본질을 따라서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21. 6. 28. 16:38
책이름: 대한민국 1호 미래학교 곁이름: 공교육에서 실천한 미래교육 이야기 지은이: 창덕여중 공동체 펴낸곳: 푸른칠판 펴낸때: 2020.06.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일반화되기 이전에 학교 문화의 변화, 교육과정과 수업의 변화, 학교 공간의 변화, 테크놀로지의 도입 등으로 한 발 앞서 미래를 준비한 창덕여중의 미래학교 이야기이다. 제1장은 학교문화의 변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범위를 좁히면 교사들의 업무 문화라고 할 수 있는데, 회의 문화가 위에서 결정하고 전달하는 방식에서 밑에서 필요를 느끼고 제안하고 바꿔 나가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어디서든 회의하는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회의의 3요소로 사전준비, 기록, 사후공유를 얘기한다. 회의에서 무슨 얘기를 할지를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공유된 회의 주..
-
[책 30] 우리들의 문학 시간: 일상을 함께 하는 수업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21. 6. 11. 14:45
책이름: 우리들의 문학 시간 곁이름:과학고 국어수업 3년의 이야기 지은이: 하고운 펴낸곳: 롤러코스터 펴낸때: 2021.01. 부제에 있는 것처럼 과학고에서 기타 과목인 국어를 가르치는 선생님의 수업 이야기이다. 과학고이다 보니 학생들은 수학이나 과학 관련 과목을 집중하고, 인문 계열이나 예체능 과목들은 기타 과목인 것이다. 그런 상황이다 보니 국어 수업은 학생들에게 부담없이 잠시 쉬어가는 시간이 될 수 있었고, 그랬기 때문에 교과서를 벗어나서 더욱 자유로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고 한다. 1학년 1학기에는 시, 2학기에는 소설, 2학년 1학기에는 코스모스 읽기, 2학기에는 연애소설 읽기, 3학년 1학기에는 문학사 중 만해, 육사, 동주, 2학기에는 서평쓰기를 했다. 딸랑 이것만 한 것은 아니겠지만 이..
-
[책 21] 교사의 독서: 교사에게 필요한 것은 용기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21. 4. 26. 18:35
`책이름: 교사의 독서 곁이름: 바쁨과 순응 사이, 길을 찾는 교사들에게 지은이: 정철희 펴낸곳: 휴머니스트 펴낸때: 2020.05. 지은이는 교사로서 학교 생활에서 만나는 갈등과 선택의 상황에서 드는 여러 고민들에 대한 실마리를 책 속에서 찾아 학교 생활과 삶을 돌아본다. 여러 고민들은 5개로 범주화하고, 이에 대한 실마리는 각 2권씩 총 10권의 책을 언급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그리고 사회와는 다른 학교만의 특수한 환경 속에서 교사들만 접할 수 있는 모순의 현상들을 단순한 사실의 나열이, 깊숙하게 깔려 있는 본질을 꺼내와서 우리 앞에 들이밀고 있다. 이 책들을 읽는다고 교사들의 삶이, 학교 현장의 모순이 이렇게 보이는 것이 아닐텐데, 책과 삶을 연결시키는 혜안이 돋보인다. 1장 학교 가기 ..
-
[책 15] 공부머리 독서법: 애들이 한다면 하고 싶다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19. 8. 11. 21:20
책이름: 공부머리 독서법 곁이름: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독서교육의 모든 것 지은이: 최승필 펴낸곳: 책구루 펴낸때: 2018.05. 아이를 키우면서 거실에 책장을 놓고, 책장에 우리 부부의 책은 거의 다 처분하고 아이들의 책으로만 채워놓으면서 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실제로 독서를 통해 아이의 성장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정밀하게 확인하지는 않았다. 언뜻언뜻 예사롭지 않은 어휘나 질문들을 통해서 책을 읽으니까 이런 말도 하는구나 생각할 뿐이다. 아내의 추천으로 이 책을 접하고 읽으니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들이 있는데, 그래도 우리는 그리고 우리 아이들은 숙련된 독서가는 아니고, 초보 독서가에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우리 아이들에게, 그리고 나에게 필요한 독서 관련 언급을 ..
-
[책 6] 우리 아이 성조숙증 거뜬히 이겨내기: 거뜬하게 이겨냈으면 정말 좋겠다행간의 접속/교육/청소년 2019. 6. 30. 16:52
책이름: 우리 아이 성조숙증 거뜬히 이겨내기 지은이: 폴 카플로비츠 옮긴이: 서울아동병원 의학연구소 펴낸곳: 꿈꿀자유 펴낸때: 2014.04 첫째가 키가 커서 잘 자라나 싶었는데, 가슴이 아프다고 해서 병원에 갔더니 성조숙증이라고 한다. 신체 나이보다 뼈 나이가 너무 앞서가서 성호르몬이 분비되고, 2차 성징의 징후가 보인다. 그렇게 되면 문제는 성장판이 일찍 닫혀서 더 이상 성장이 멈추게 된다는 것이다. 아내가 주변의 지인들에게 이런 얘기를 나누니까 한 친구가 추천해준 책이다. 결론부터 말하면 의사들이 하는 말이 100% 맞는 것이 아닐 수도 있고, 너무 성급하게 결론을 내리지 말고 차분하게 지켜보는 것이 좋다는 말이다. 정보가 다양하지 않은 상황에서 그 때 그 때 들어오는 정보에 휘둘릴 수밖에 없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