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간의 접속/사회
-
[책 29] PD수첩 진실의 목격자들: 시대를 품는 열정의 기록행간의 접속/사회 2012. 8. 21. 22:11
PD수첩:진실의목격자들(1990-2010)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지은이 PD수첩 제작진 (북폴리오, 2010년) 상세보기 2010년은 PD수첩 방송 20주년이었다. PD수첩 20년이 넘는 기간동안 한국사회의 부조리한 면면을 꾸준하게 밝혀온 탐사프로그램이다. 이 책은 그 중에서 9명의 PD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여 묶은 책이다. PD수첩을 처음 만들 때 일조를 한 김윤영, 종료문제를 건드렸던 윤길용, 권부를 건드렸던 최진용, 검찰 문제를 건드렸던 최승호, 그리고 황우석 신화를 깬 한학수, 광우병 논란의 중심에 섰던 김보슬 등... 한국사회를 들끓게 했던 이슈의 중심에 있던 사람들이다. 도대체 이 사람들은 어떤 생각으로 그런 일들을 할 수 있었는지 궁금했다. 책을 읽어봤을 때 가장 인상적인 내용은 ..
-
[책 7] 왼쪽으로, 더 왼쪽으로: 진정한 균형을 위하여행간의 접속/사회 2011. 3. 22. 12:55
왼쪽으로더왼쪽으로당신들의대한민국세번째이야기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각국사회/문화 > 한국사회/문화 지은이 박노자 (한겨레출판사, 2009년) 상세보기 박노자 교수의 당신들의 대한민국 제 3권이다. 우리 사회의 여러 사건들에 대해 발언하면서 우리 사회의 폭력성과 야만성, 비합리성에 대해 끊임없이 고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대부분 1권, 2권과 비슷한 내용이지만 그중에서 인상적인 내용들을 뽑아보았다. 먼저 진보에 대한 얘기를 한다. 특히 20대의 절반 정도가 스스로 '진보'라고 규정하지만 민주노동당의 지지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 애기한다. 여러 가지 이유들이 있었겠지만 그중 하나는 민주노동당 진보의 문화적 '코드'가 그들을 만족시킬 만한 수준이 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 구호는 '진보'..
-
[책 5] 88만원 세대: 반드시 다시 볼 책행간의 접속/사회 2011. 1. 31. 13:44
88만원세대절망의세대에쓰는희망의경제학 카테고리 경제/경영 > 경제일반 > 경제학일반 지은이 우석훈 (레디앙, 2007년) 상세보기 88만원세대는 20대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 전체 비정규직 평균 임금 119원에서, 20대의 임금 비율 74%를 대입해서 나온 월급이다. 20대 대부분이 실업이거나 취업을 해도 비정규직이 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그들은 평균 88만원을 받게 되는 세대라는 얘기이다. 경쟁은 경쟁대로 하지만 그 경쟁에서 이기고 난 후에 얻은 것들은 별로 없다. 왜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지 설명하면서 우리 사회를 읽어보자. 먼저 10대 이야기를 한다. 그 중에서도 우리나라에서 10대 후반의 세대들이 독립하지 못하는 이유를 세 가지로 든다. 첫째, 주택비가 많이 든다. 둘째, 대학 교육비가 많이 든..
-
[책 36] 여성주의, 남자를 살리다: 남성과 여성을 넘어 인간으로...행간의 접속/사회 2010. 11. 11. 10:45
여성주의남자를살리다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복지 > 여성학 > 여성학/페미니즘 지은이 권혁범 (또하나의문화, 2006년) 상세보기 여성주의에 관한 여성들의 글에서 읽던 내용을 남성의 글에서 읽으니 처음에는 식상했는데, 읽을수록 공감이 간다. 여기저기 쓴 글들을 모아서 편집한 것이라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기도 해서 약간 아쉽긴 하지만 크게 부자연스럽지는 않다. 인상적인 내용들을 한 번 뽑아봤다. 사랑을 시작하는 문화는 널려 있다. 직접 쓴 시를 선물하고 꽃을 바치며 우아한 레스토랑에서 촛불과 함께 데이트를 즐기는 식의 시나리오는 풍부하다. 그러나 이별의 문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별을 금기시하고 절대로 있어서는 안 될 사건으로 생각하는 문화에서 헤어짐의 시나리오는 희귀하다. (중략)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
[책 34] 우석훈, 이제 무엇으로 희망을 말할 것인가: 비판을 뒤집으니 희망이 보이네행간의 접속/사회 2010. 11. 6. 23:01
우석훈이제무엇으로희망을말할것인가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사회학일반 > 사회/문화에세이 지은이 우석훈 (시대의창, 2008년) 상세보기 88만원 세대의 저자 우석훈을 지승호가 인터뷰했다. 지금의 청년들을 88만원 세대라고 명명하며 가슴 아픈 시대를 보여준 우석훈이 인터뷰에서는 제목처럼 어떤 얘기로 희망을 말할지 궁금했다. 먼저 조직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한국의 조직에서 권한을 가진 4,50대 남성들의 힘이 너무 강하다. 그런데 이들의 아집과 아둔이 조직을 망친다고 한다. 그 사람들은 '빨간 펜'들이잖아요. 스스로 뭘 쓰지는 않고 토씨만 고쳐주는 빨간 펜이 쎈 건데, 진짜로 원안을 만드는 사람들은 따로 있잖아요. 그 사람들이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줘야 다양하고 참신한 요소가 나올 수 있는데..
-
[책 30] 하나의 대한민국, 두 개의 현실: 형식적 민주주의에서 사회경제적 민주주의로행간의 접속/사회 2010. 10. 13. 23:19
하나의대한민국두개의현실미국의식민지대한민국,10vs90의소통할수없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각국사회/문화 > 한국사회/문화 지은이 지승호 (시대의창, 2007년) 상세보기 인터뷰어 지승호가 7명의 지식인과 한국 사회의 여러 가지 모습에 대해서 인터뷰한 것을 모은 책이다. 인상적인 얘기들을 뽑아보았다. 어린이 교양 월간지 『고래가 그랬어』의 발행인인 김규항의 인터뷰 내용 중에서 요즘 아이들의 상황에 대한 얘기가 있다. 모든 사회가 권위주의에서 벗어났고, 민주화되어 있고, 개인의 자유가 늘어났어요. 그런데 아이들만은 반대잖아요. 지금, 지승호 씨 말대로 훨씬 더 많이 통제되고 관리되고 있어요. 그게 경쟁 때문인데, 참 슬픈 일이죠. 부모들은 아이들 때의 인생이라는 것은 나중에 진짜 인생을 위한 준비기..
-
[책 29] 장하준, 한국경제 길을 말하다 : 지금은 말하기 뭣하네...행간의 접속/사회 2010. 9. 30. 23:33
장하준한국경제길을말하다위기의대한민국,상생의대안,사회적대타협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각국사회/문화 > 한국사회/문화 지은이 장하준 (시대의창, 2007년) 상세보기 이 책이 나온 시기는 2007년 노무현 정권의 막판이었고, 내가 이 책을 읽는 지금은 2010년 9월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2009년 5월에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의 많은 부분이 노무현 정권의 경제 정책에 대한 비판이 대부분이다. 당대에도 잘 몰랐던 사실을 지금에 와서 다시 읽으려니 잘 모르겠고, 무엇보다도 지금의 정서상 가신 분에 대해 뒤늦게 비판하는 것처럼 여겨져서도 쉽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 책은 나중에 아주 더 나중에 읽어봐야 좀더 종합적이고, 좀더 객관적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책 24] 생애의 발견: 모든 세대의 모든 이야기행간의 접속/사회 2010. 7. 26. 16:24
생애의발견한국인은어떻게살아가는가 카테고리 정치/사회 > 사회학 > 각국사회/문화 > 한국사회/문화 지은이 김찬호 (인물과사상사, 2009년) 상세보기 이 책은 모든 세대의 한국인들의 현재 삶을 짚어 보고,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 답은 주지 않지만 생각은 하게 한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전 생애에 대해서 시선을 맞추고 있다는 점이다. 청소년기는 교육의 문제를 다루면서 사람들이 많이 다루고, 이삼십대의 문제는 실업 문제를 다루면서 다루고, 중년의 문제는 건강의 문제에서 다루지만, 유아기와 아동기, 장년기와 노년기의 문제는 심도있게 다루지 않는다. 또한 다른 세대와 일관된 관점에서 다루지도 않는다. 비중도 적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모든 세대에서 생각할 수 있는 삶의 문제에 대해서 골고루 짚어주면서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