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리랑 |
카테고리 |
소설 > 한국소설 > 역사/대하소설 |
지은이 |
조정래 (해냄출판사, 1994년) |
상세보기 | | |
아리랑 2부를 읽었다.
2부의 주된 인물들은 대충 이렇다. 빼앗긴 땅을 찾기 위한 노력을 하는 박건식, 만주에서 독립군 투쟁을 벌이는 송수익과 지삼출, 방대근, 서당을 중심으로 계몽운동을 펼치는 신세호, 만주와 연락하면서 군자금을 모으면서 서당을 지원하는 공허, 그리고 그의 여인이 되는 홍씨, 하와이에서 국민군단에 속해서 귀향을 꿈꾸는 방영근, 군산의 학교에서 학생들과 3.1운동을 지원하는 송수익의 아들 송중원과 이광민, 시아버지의 죽음으로 군산으로 흘러들었다가 장칠문의 첩에서 일본 관원 세끼야의 첩으로 기구한 삶을 사는 보름이, 형제들의 재산 다툼을 마무리 짓고 일본 유학하며 독립운동을 준비하는 정도규, 아버지 차갑수가 일본에 의해 죽고 어머니도 저수지에 빠져 죽자 동생 옥녀와 다니다가 옥녀를 놀이패에 잃고, 거지로서 옥녀를 찾는 득보, 방대근에게 복수를 당해 한쪽 눈 잃고, 헌병데에서 쫓겨난 백남일과 면장에서 쫓겨나서 친화회를 만들었다가 3.1 운동 때 죽은 백종두, 군산을 거쳐 만주에서 정보원로 커나가는 양치성, 부두일에서 군산지역 폭력배로 성장한 서무룡. 여전히 땅을 넓혀가는 하시모토, 여전히 탄압하는 쓰지무라.
2부의 시기는 대략 1920년 정도까지의 상황인데, 토지를 완전히 빼앗기고, 만주로 사람들이 이주해 가면서 만주에서 독립운동의 뿌리를 다지고, 국내에서는 서당을 중심으로 계몽운동을 펼치면서 3.1운동을 하고, 그 여파로 독립군이 일본과 무장 투쟁을 전개하는 내용들이다.
이런 역사적인 상황 속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다 보니까 역사적인 인물들의 활동 상들도 나온다. 하와이에서의 박용만과 이승만의 국민회, 만주에서의 김좌진과 홍범도 중심의 독립군, 상해 임시정부의 김구, 여운형 등, 그리고 3.1운동의 최남선, 한용운, 이승훈 등의 민족대표 등이 하나의 인물로 나와서 역사 속에서 살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역사 교과서에서 단편적으로 배웠던 사실들이 여기서는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하나의 흐름으로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종합적인 이해를 할 수 있었다. 만주의 독립군 부대들의 경우 대한정의군, 대한독립군, 북로군정서군, 서로군정서군 등을 역사 교과서에서는 맥락 없이 외웠는데, 이 책을 읽으면 종교적인 배경으로 차이가 나는 주장들, 그 지도자들을 파악할 수 있어서 이해가 잘 되었다.
또한 3.1운동 전에 상해 임시정부, 하와이, 만주의 독립군, 일본 유학생 등 각 독립운동 단위들이 준비를 하는 과정이 생생하게 나와있는 부분은 인상적이었고, 우리 민족이 학살 당하고 아픔을 당하는 장면은 정말 가슴이 쓰라렸다.
무단통치가 끝나고 문화정치를 한다고 하지만 일본의 탄압은 여전한 상황에서 이제 3부로 들어갈 차례이다. 여전히 아픔을 간직하고 역사를 헤쳐나가는 민족의 운동을 계속 들여다 봐야겠다